밍꽁✨
코딩하는 감자
밍꽁✨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27)
    • python (16)
      • 파이썬 머신러닝 완벽가이드 (6)
      • 코딩테스트 (4)
      • 머신러닝&딥러닝 (2)
      • 파이썬 기초 (4)
    • Qgis (1)
    • Tableau (6)
    • 빅데이터 분석 기사 (0)
    • 금융데이터 뚝딱이기 (4)
      • 신협 대학생 인턴십 (1)
      • 기사 스크랩 (3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
공지사항

인기 글

태그

  • bisect_right
  • 신협인턴십
  • Tableau
  • 인프런
  • 피처백터화
  • sys.stdin.readline()
  • Python기초
  • 코딩테스트
  • 파이썬기초
  • Light GBM
  • 역머니무브
  • 태블로
  • LGBM
  • 파이썬
  • bisect_left
  • 기사스크랩
  • 웰컴투태블로월드
  • 머신러닝
  • python
  • NLP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밍꽁✨

코딩하는 감자

금융데이터 뚝딱이기/기사 스크랩

[기사 스크랩] 상호금융권 횡령

2022. 7. 21. 09:03
반응형
경기 안성 지역농협 직원 5억 원 횡령...직원은 ‘잠적’

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7191316118737

 

[단독] 경기 안성 지역농협 직원 5억 원 횡령...직원은 '잠적'

[앵커]경기 안성시에 있는 지역농협에서 또다시 횡령사건...

www.ytn.co.kr

금감원장, 상호금융권 내부통제 미비’일갈’, ‘횡령사고 신뢰 훼손’

https://www.inews24.com/view/1499040

 

금감원장, 상호금융권 내부통제 미비 '일갈'…"횡령사고 신뢰 훼손"(종합)

[아이뉴스24 이재용 기자]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최근 상호금융권에서 연이어 발생한 횡령 사고를 꼬집으며, 내부통제 강화 방침을 밝혔다.이 원장은 11일 서울 중구 농협중앙회 본관

www.inews24.com

  "금융권인데도 행안부가 소관... 관리 감독 부실 문제도"

https://cm.asiae.co.kr/article/2022062309150310302

 

"금융권인데도 행안부가 소관…관리·감독 부실 문제도"[비리온상 새마을금고③]

대표적인 서민금융기관인 새마을금고에서 비리 사고가 끊이지 않는 것은 관리·감독 체계가 다른 상호금융권에 비해 부실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. 새마을금고는 행정안전부 소관으로

www.asiae.co.kr


상호금융권 이해

  • 상호금융은 조합원 간의 금융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조합 금융이며, 자금의 과부족을 내부에서 자체 해결함을 원칙으로 하는 자주금융
  • 조합원 1인 1표주의에 의해 운영되는 민주 금융이며 조합원 간의 금융이 원칙
  • 신용사업과 공제사업을 통해 조달한 자금으로 조합원에게 금융편의 제공 
  • 상호금융에는 신협, 농협, 수협, 산림조합, 새마을금고 등이 존재
  • 예를 들어 ‘농협은행’이라면 농협 중앙회로 제 1금융권에 속하고, ‘농협’이라면 단위 농협으로 제 2금융권에 속하여 각 조합이 개별 사업체로 구분

사건 개요

  • 지난달 초, 경기 안성시 고삼농협에서 횡령 사건이 발생했다. 양곡유통사업부 소속 30대 직원 A씨가 물품 대금 5억 원 가량을 빼돌린 것으로 확인되었다. 조합이 업체 계좌로 돈을 입금한 뒤 A씨가 다른 은행의 본인 계좌로 빼돌 린 것으로 농협측은 파악하고 있다.
    지난달 9일 조합에서 본부에 보고했지만 경찰 수사 의뢰는 한 달 가까이 지난 4일에야 이뤄졌다.
  • 지난달 30일에 발생한 서울중앙농협 구의역지점 직원 횡령 금액은 처음에 알려진 20억 원에서 49억 9천만 원으로 2.5배 가까이 늘었다. 이 직원은 지난해 7월부터 고객 10여 명의 명의를 도용해 허위로 대출을 받은 뒤 돈을 빼돌린 혐의를 받았다.
  • 지난달 27일에는 경기 파주시 지역농협 직원이 70억 원대 횡령을 저 질렀고, 지난달 15일엔 자금 출납 업무를 담당하던 경기 광주시 지역농협 직원이 40억 원 규모 시재를 빼돌린 사건도 있었다. 이 밖에도 올해 상반 기에 확인된 횡령 사건만 무려 9건이다.
  • 농협 뿐만 아니라 지난달 5월 서울 송파구 새마을금고에서도 직원이 40억 원 규모 횡령을 저질렀고, 지난달에는 강원도 강릉의 새마을금고에서 20억 원대 규모 횡령이 적발됐다.

> 문제는 지역 농민이나 서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상호금융기관에서 발생한 잇단 횡령으로 이들 기관의 신뢰도 역시 추락하고 있다.


원인

  • 문제는 이 같은 피해를 고객이 신고하거나, 직원이 잠적하는 등 이상한 낌새를 보이기 전엔 농협 측이 횡령 사실을 전혀 인지하지 못했다는 것이 다.
  • 이러한 상호금융권에서 비리 사고가 끊이지 않는 것은 관리·감독 체계가 다르기 때문이다. 신협은 금융위가 관리하지만 농협과 축협은 농림축산식품부소관이다. 또 새마을 금고는 행정안전부 소관이기에 이들에 느슨한 규제가 적용된다는 비판이 제기돼왔다.
  • "상호금융에 한정해 말씀드리면 규모가 지역조합별로는 타 업권에 비해 작은데, 특정 업무를 오래 맡다보니 친소관계에서도 문제가 있다는 점을 대표들께서 공감해줬다"

향후전망

  •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최근 상호금융권에서 연이어 발생한 횡령 사고를 꼬집으며, 내부통제 강화 방침을 밝혔다.
  • 금감원은 현재 중앙회와 함께 '내부통제 개선 TF'를 꾸리고 상임감사 도입기준 강화, 순회감독역 내실화, 명령휴가제·순환근무제 등에 대한 개선방안을 논의하고 있다.

내가 생각하는 해결방안 

  • 단위 조합의 경우 개별 사업자로 운영되기 때문에 중앙회에서 모든 조합들을 가맹점처럼 관리 감독하게 된다. 하지만 각 단위 조합에서 발생되는 비리에 대해서는 중앙회에서 철저히 관리감독이 이루어졌어야 한다고 생각한다. 따라서 중앙회 측에서 내부 통제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.
  • 또한 상호금융권 중에서도 신협만 금융위 산하에 있고, 농협과 새마을 금 고는 타 기관 산하에 두는 원인도 파악해야 할 것이다. 이처럼 타 기관 산하에 두었을 시 제대로 관리 감독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금융위 산하로 관리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한다.
  • 만일 관리 감독할 직원이 각 단위 조합의 수를 감당할 수 없다면, 특정 지역에 속해있는 상호금융권끼리 관리 감독을 하는 것도 적절하지 않을까 생각된다.
반응형

'금융데이터 뚝딱이기 > 기사 스크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기사스크랩] 금리 인상기 역머니무브  (0) 2022.07.29
[기사 스크랩] 금융회사의 알뜰폰 시장 진출  (0) 2022.07.15
    '금융데이터 뚝딱이기/기사 스크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[기사스크랩] 금리 인상기 역머니무브
    • [기사 스크랩] 금융회사의 알뜰폰 시장 진출
    밍꽁✨
    밍꽁✨
    감자의 데이터 분석 일지

    티스토리툴바